if문
// if문
// 조건식에 따라 결정되는 구문
// if(조건식) {
// 수행식
// 수행식
//}
//점수가 80점 이상이면 합격을 출력한다.
int score = 90;
if(score>=80) {
System.out.println("합격입니다!");
}
if else문
/* if else 문
* if와 else if가 true 일때는 참결과값을 내보내고 아닐땐 else로 이동해 그에 맞는 값을 내보낸다.
* if (조건식) {
* 수행문1;
* 수행문2;
* }else {
* 수행문3;
* 수행문4;
* }
* 조건식이 true면 수행문1과 2가 실행됨
* 조건식이 false면 수행문3과 4가 실행됨
*/
// 자동차 유상수리 기준으로 유상수리면 수리비를 출력 무상수리일 경우 "무상수리대상입니다" 출력
int year = 3;
int distance1 = 25000;
if ((year >=3)||(distance1>=30000)) {
int repair = 1000000;
System.out.println("유상수리"+repair+"원입니다.");
} else {
System.out.println("무상수리 대상자입니다.");
};
}}
//결과값 유상수리1000000원입니다.
else if = if else문 조건이 여러개일때 사용 (코드리팩토링 중요*)
/*if else문 조건이 여러개일 때 else if
*
* 형식
* if(조건문) {
* 수행문1;
*} else if (조건문2) {
* 수행문2;
*}else if (조건문3){
* 수행문3;
*}else {
*}
*/
//점수가 90점 이상 A 80점 B 70점 C 나머지는 D로 처리한다,
int score = 89;
int po1 = 0; // 밑에 변수사용
int buy1 = 400000; //밑부분 변수사용
if (score>=90) {
System.out.println("A");
} else if(score>=80) {
System.out.println("B");
}else if(score>=70) {
System.out.println("C");
} else {
System.out.println("D");
}
/*구매금액이 100만원 이상일때 5% 적립
* 구매금액이 50만원 이상일때 3% 적립
* 구매금액이 30만원 이상일때 1% 적립
* 구매금액이 10만원 이상일때 0.1% 적립
*/
int buy = 1000000;
if (buy>=1000000) {
int point = (int)(buy*0.05);
System.out.println("구매금액은"+buy+"입니다");
System.out.println("point적립="+point);
}else if (buy>=500000) {
int point = (int)(buy*0.03);
System.out.println("구매금액은"+buy+"입니다");
System.out.println("point적립="+point);
}else if (buy>=300000) {
int point = (int)(buy*0.01);
System.out.println("구매금액은"+buy+"입니다");
System.out.println("point적립="+point);
}else {
int point = (int)(buy*0.001);
System.out.println("구매금액은"+buy+"입니다");
System.out.println("point적립="+point);
}
// 위코드는 너무 길다.
//줄인코드(코드 리펙토링: 안좋은 코드를 파악하고 중복되는 코드를 짧고 보기좋게 요약하는것 )
if (buy1>=1000000) {
po1 =(int)(buy1*0.05);
}else if (buy>=500000) {
po1 =(int)(buy1*0.03);
}else if (buy>=300000) {
po1 =(int)(buy1*0.01);
}
System.out.println("구매금액은"+buy1+"입니다");
System.out.println("point적립="+po1);
}
}